- HTML
- 개요Meaning :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마크업 정보를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로 문서의 내용 이외의 문서의 구조나 서식 같은 것을 포함한다.
보면 알겠지만 애초에 이름 HTML의 ML이 마크업 언어라는 뜻이다. 웹사이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htm이나 html 확장자가 바로 이 언어로 작성된 문서다.
-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s :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컴퓨터
언어의 일종이다.
- 태그Tag : HTML은 웹 브라우저마다 지원하는 태그가 조금씩 다르며, 같은 태그라도 작동하는 방법이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태그를 지원한다.
- CSS
- 개요Meaning :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가 실제로 웹사이트에 표현되는 방법을 정해주는 스타일시트 언어.
- 라이브러리Library : CSS 라이브러리는 웹 사이트의 디자인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와 기능을 보완해 주는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다.
- 스타일시트 언어Stylesheet language : 문서 및 문서 내용의 시각적 표현과 양식을 선언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컴퓨터 언어의
일종. 주로 마크업 문서의 특정 요소를 선택하는 쿼리 언어인 선택자와 이에 적용할 스타일 구문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.
- Website
- 개요Meaning : HTML 문서와 그림, 멀티미디어 파일 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.
- 최초의 웹브라우저Webbrowser's origin : HTML 문서와 그림, 멀티미디어 파일 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콘텐츠에
접근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.
- Blink기반 대표 웹브라우저Blink base webbrowser
- 구글 크롬 Chrome 다운로드
-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Microsoft Edge 다운로드
- 오페라 브라우저 Opera 다운로드
- HTTP
- 개요Meaning :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yperTexT Protocol의 약자이다.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
프로토콜.
- 설명Instruction :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으로,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 놓은
규칙이다.
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한다. 예를 들면 '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에서 링크가
걸려있는 텍스트를 클릭(요청)하면 링크를 타고 새로운 페이지로 넘어간다(응답)'.
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주소 맨 앞에 들어가는
http://가 바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정보를 교환하겠다는 표시인 것이다.
사실 // 부분은 치지 않아도 정상 접속 된다. 이에 대해 팀 버너스리는 고안 당시
멋으로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.
- 보안이슈secure issue : 현재는 보안이슈로 인해 조금 더 강화된"https://"를 주로
사용한다.
- 인터프리터secure issue : 인터프리터는 코드를 한 줄씩 읽어 내려가며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. 코드 전체를 읽어서 기계어로 번역하는
컴파일러와는 대조적이다.
- Java Script
- 개요Meaning : Ecma International의 프로토타입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, 스크립트 언어에 해당된다. 특수한 목적이 아닌 이상 모든
웹 브라우저에 인터프리터가 내장되어 있다.
오늘날 HTML, CSS와 함께 웹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다. HTML이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담당하고, CSS가
디자인을 담당한다면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단에서 웹 페이지가 동작하는 것을 담당한다.
웹 페이지를 자동차에 비유하자면, HTML은 자동차의 뼈대, CSS는
자동차의 외관, JavaScript는 자동차의 동력원인 엔진이라고 볼 수 있다.